내 신용점수가 아주 나쁘지는 않은데, 1금융권 은행에서는 번번이 거절당하고, 그렇다고 저축은행의 높은 이자를 쓰자니 왠지 억울한 기분이 드시죠? 바로 이 '애매한 신용점수'를 가진 중신용자들이야말로, 금융 시장에서 가장 소외되기 쉬운 계층입니다.
그래서 오늘은 바로 그런 분들을 위해, 정부가 보증하여 1, 2금융권의 문턱을 낮춰주는 '중신용자를 위한 징검다리', 사잇돌 대출의 자격 조건을 알려드리겠습니다. 더 이상 어중간한 위치에서 좌절할 필요 없습니다. 이 글을 5분만 읽어보세요. 당신은 더 이상 금융 사각지대의 외로운 방랑자가 아닐 겁니다. 나의 신용도를 정당하게 평가받고, 합리적인 금리로 위기를 극복하는, 가장 현명한 길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.
① 사잇돌이란? (중신용자를 위한 정부 보증)
'사잇돌'은, 소득은 있지만 신용도가 중간 등급이라 은행 이용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'SGI서울보증보험'이 보증을 서주고, 그 보증을 믿고 은행이 자금을 내어주는 '정부 정책 중금리 상품'입니다. 즉, 정부가 당신의 든든한 '보증인'이 되어주는 셈입니다.
② 가장 중요한 자격 조건: '소득'과 '신용'의 조합
사잇돌의 문을 열기 위한 열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.
소득 조건: 근로자라면 재직 기간이 3개월 이상이면서 연소득 1,500만원 이상, 사업자라면 사업 기간 6개월 이상이면서 연소득 1,000만원 이상, 연금소득자라면 연금을 1회 이상 수령한 사실만 있으면 됩니다.
신용 조건: 개인 신용평점이 하위 50% 이내에 해당해야 합니다. (2025년 기준 NICE 점수 약 859점 이하)
즉, '꾸준한 소득은 있지만, 신용이 최상위권은 아닌' 대부분의 평범한 직장인과 사업자가 주된 대상입니다.
③ 두 개의 징검다리: '사잇돌1'과 '사잇돌2'
사잇돌은 신청하는 금융기관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뉩니다.
사잇돌1 (1금융권): 국민, 신한, 우리 등 시중은행에서 취급합니다. 은행에서 직접 심사하므로 조금 더 깐깐하지만, 통과만 된다면 상대적으로 더 낮은 금리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사잇돌2 (2금융권): 저축은행에서 취급합니다. 1금융권보다 심사 기준이 유연하여, 조금 더 낮은 신용도를 가진 분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대신, 금리는 '사잇돌1'보다 다소 높게 형성됩니다.
④ 한도와 금리는 어느 정도일까?
한도: 1인당 최대 2,000만원까지 가능하지만, 개인의 소득과 부채 수준에 따라 실제 가능 금액은 달라집니다.
금리: '사잇돌1'은 연 6~10% 수준, '사잇돌2'는 연 10~16% 수준에서 형성됩니다. 법정 최고금리(20%)보다는 훨씬 낮습니다.
'신용이 애매해서' 더 이상 금융 앞에서 좌절하지 마세요. '사잇돌'은 바로 그런 당신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든든한 다리입니다. 먼저, 나의 주거래 은행을 통해 '사잇돌1'의 문을 두드려보고, 만약 그 문이 닫혀있다면, 가까운 저축은행의 '사잇돌2'를 알아보는 것이 가장 현명한 순서입니다.